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농지연금 가입조건, 신청방법 수령액은?

by kaskfjskdjf 2025. 9. 25.

 

평생 땀 흘려 가꾼 농지가 이제는 든든한 노후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많은 어르신이 은퇴 후 소득 감소로 막막함을 느끼시지만, 소유한 농지를 활용해 매월 안정적인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농지연금' 제도가 있습니다.

"나도 받을 수 있을까?", "한 달에 얼마나 나올까?"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2024년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농지연금 신청 자격부터 월 수령액,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장점과 유의사항까지 알기 쉽게 총정리해 드립니다.


1. 농지연금, 어떤 제도인가요?

농지연금은 만 60세 이상의 고령 농업인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제공하고, 평생 또는 일정 기간 매월 안정적인 생활 자금을 연금처럼 지급받는 제도 입니다. 한국농어촌공사가 운영하는 '농지은행' 사업의 하나로, 정부 예산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연금이 중단될 위험 없이 매우 안정적이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농지를 팔지 않고도 이를 활용해 매달 월급처럼 생활비를 받을 수 있는 '역모기지' 방식의 연금입니다.


2. 가장 중요한 '농지연금 신청 자격' 알아보기

농지연금에 가입하려면 신청하는 '사람' 과 담보로 제공하는 '농지' 모두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꼼꼼히 확인해 보세요.

✅ 신청인 자격 조건

  • 나이: 신청 연도 말일을 기준으로 만 60세 이상 이어야 합니다.
  • 영농 경력: 신청일 기준으로 영농 경력이 5년 이상 이어야 합니다.
    • 꿀팁! 영농 경력이 연속적이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전체 영농 기간을 모두 합산해서 5년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대상 농지 조건

  • 지목: 농지법에 따른 농지, 즉 전(밭), 답(논), 과수원 이어야 합니다.
  • 소유 및 이용: 신청인이 소유하고 있으며, 실제 농사짓는 데 이용되고 있어야 합니다.
  • 제한 사항: 저당권 등 담보 설정에 제한이 없어야 합니다.

❌ 이런 농지는 신청할 수 없어요! (제외 농지)

아래에 해당하는 농지는 아쉽게도 농지연금 신청이 어렵습니다.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주거·상업·공업지역 내에 있는 농지
  •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에 따른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농지
  • 불법 건축물이 설치되어 있는 농지
  • 본인 및 배우자 이외의 다른 사람과 공동으로 소유(지분 소유)한 농지
  • 개발 계획이 확정되었거나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의 농지
  • 압류·가압류·가처분 등 권리 침해가 있는 농지

3. 그래서, 매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월 수령액 예시)

월 수령액은 가입자의 연령 담보 농지의 가격(감정평가액) 에 따라 결정됩니다. 당연히 가입 연령이 높을수록, 농지 가격이 비쌀수록 월 지급금은 많아집니다.

농지연금은 개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급 방식이 있습니다.

  • 종신정액형: 가입자(및 배우자)가 사망할 때까지 매월 고정된 금액을 받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
  • 기간정액형: 5년, 10년, 15년, 20년 등 본인이 선택한 기간 동안만 더 많은 금액을 집중적으로 받습니다.
  • 전후후박형: 가입 초기 10년 동안은 많이 받고, 11년째부터는 적게(종신정액형의 70%) 받는 방식입니다.
  • 일시인출형: 총 대출 한도의 30% 범위 내에서 목돈을 먼저 인출하고, 나머지를 연금으로 받는 방식입니다. (자녀 결혼, 병원비 등 목돈 필요 시 유용)
  • 경영이양형: 연금 지급 기간이 끝나면 농지 소유권을 농어촌공사로 이전하는 조건으로, 일반 연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받습니다.

<농지 가격 및 연령별 월 지급금 예시 (2024.1.1. 기준)>

아래 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며, 실제 수령액은 개인별 심사 및 농지 감정평가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분 종신정액형 기간정액형 (10년) 전후후박형 (10년) 경영이양형 (10년)
만 65세        
농지 1억 원 347,750원 922,630원 488,670원 1,045,710원
농지 3억 원 1,043,250원 2,767,890원 1,466,010원 3,137,130원
농지 5억 원 1,738,750원 4,613,150원 2,443,350원 5,228,550원
만 75세        
농지 1억 원 493,500원 1,308,880원 694,000원 1,483,670원
농지 3억 원 1,480,500원 3,926,640원 2,082,000원 4,451,010원
농지 5억 원 2,467,500원 6,544,400원 3,470,000원 7,418,350원
만 85세        
농지 1억 원 728,750원 1,932,130원 1,024,530원 2,190,510원
농지 3억 원 2,186,250원 5,796,390원 3,073,590원 6,571,530원
농지 5억 원 3,643,750원 9,660,650원 5,122,650원 10,952,550원

4. 농지연금의 든든한 장점과 신중해야 할 유의사항

어떤 제도든 장점과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농지연금 역시 신중한 결정을 위해 양쪽 모두를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농지연금의 든든한 장점

  1. 부부 모두 평생 보장: 가입자가 사망하더라도, 배우자가 승계하면(신청 당시 만 60세 이상) 배우자가 사망할 때까지 연금을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
  2. 안정적인 현금 흐름: 매월 정해진 날짜에 연금이 들어와 계획적인 노후 생활이 가능합니다.
  3. 추가 소득 창출 가능: 연금을 받으면서 담보 농지를 직접 경작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임대하여 추가 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정부 시행으로 안정성 최고: 국가 예산으로 지급되므로 연금이 끊길 걱정이 없습니다.
  5. 세금 감면 혜택: 담보 농지 가격이 6억 원 이하일 경우 재산세 전액이 감면 됩니다. (6억 원 초과 시 6억 원까지 감면)

🤔 신청 전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

  1. 물가상승률 미반영: 연금액이 가입 시점에 고정되므로, 물가가 올라도 연금액은 오르지 않습니다.
  2. 농지 가격 상승분 미반영: 가입 이후 주변 땅값이 크게 오르더라도 월 수령액은 처음 계약한 금액 그대로입니다.
  3. 재산권 행사 제한: 농지를 담보로 제공했기 때문에 자녀에게 증여하거나 마음대로 팔 수 없습니다.
  4. 중도 해지 시 불이익: 중간에 해지하려면 그동안 받은 연금액과 연체 이자를 모두 상환해야 하므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5. 농지연금 신청 방법 및 문의처

농지연금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상담받고 싶으시다면 아래 방법으로 신청 및 문의가 가능합니다.

  • 방문 신청: 전국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지사(93개) 에 직접 방문하여 상담 및 신청
  • 인터넷 신청: 농지은행포털 (www.duri.kr)
  • 전화 문의: ☎ 1577-7770

평생을 바쳐 일군 소중한 농지. 이제는 그 농지가 어르신들의 행복하고 안정적인 노후를 지켜주는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농지연금 정보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하신 후, 현명한 노후 계획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